목록분류 전체보기 (284)
기어가더라도 제대로

구현 목표스레드 앱처럼 탭 바 가운데에 + 버튼의 화면 전환이 모달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목표모달 탭바 컨트롤러 구현SceneDelegate에서 코드로 화면 구현class SceneDelegate: UIResponder, UIWindowSceneDelegate { var window: UIWindow? func scene(_ scene: UIScene, willConnectTo session: UISceneSession, options connectionOptions: UIScene.ConnectionOptions) { guard let windowScene = (scene as? UIWindowScene) else { return } let window = UIWind..

언제 사용하는가?수평으로 구성된 여러개의 버튼을 나열하고, 각각의 버튼을 하나씩 선택된 상태로 이용하고 싶을 때 사용UISecmentedControl: 여러개의 파편(Segment)으로 구성된 수평 컨트롤, 각 파편은 구별된 버튼으로 기능구현 편의를 위해, SnapKit, Then을 사용기본 사용법사용할 뷰 선언UISegmentedControl(items: [Any]) 아이템에 무엇을 넣는지가 레이블에 무슨 단어가 들어갈지 결정class 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 let segmentedControl: UISegmentedControl = { let control = UISegmentedControl(items: ["One", "Two"]) ..

UIKit도 나온지 10년이 넘었고, 스택오버플로우도 거의 object-c가 혼재하던 시절에 나온 코드 자료가 많아서, 한번 정리를 해놓으려 함편의상 sceneDelegate나 View Controller에서 하지만, Appearance를 편집하는 매니저에서 바꾸는 것을 추천함그 이유는 나중에 뷰컨이 많아지면 어느 뷰컨에서 어떻게 설정을 바꿨는지 알기가 어려워서, 효과들이 중첩되는데 이거가 한번 꼬이면 어느 뷰에서 어떻게 바꿨는지 찾는게 더 오래걸림 사전 설정SnapKit: Auto layout을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Then: UI 선언을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코드 베이스 UI: 스토리 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것임FirstViewController와 SecondViewController를 생성하고 각각 ..